Type Here to Get Search Results !

Translate

다음과 빙에 구글 블로그스팟 검색 등록하기 - daum&bing

구글 블로그 스팟을 개설한 후 네이버와 구글에 검색 등록을 하셨다면 이제 큰 검색 사이트는 검색이 완료된 상태입니다. 하지만 검색을 처리하는 서비스가 두개가 더 있지요! 바로 다음(daum)과 빙 (bing)입니다.



사실 이 2개 사이트는 검색 유입이 많지 않아서 약간 보너스(?)같은 개념으로 보시는게 좋을 것 같네요. 다음을 먼저 설명하고 그 다음에 빙 등록을 설명할게요!



다음과 빙 검색등록 방법


━━━━◇━━━━

다음 검색 등록 하기


다음 검색의 경우 포털사이트인 daum에 검색 노출을 하기 위해 등록하는 것이라 보시면 됩니다. Daum은 검색 등록도 엄청 짜게 승인해주고 조금만 잘못 등록해도 저품질 먹여서 사실 큰 기대 없이 범위를 넓힌다는 개념으로 생각하시는 게 스트레스 덜 받으실 것 같아요. 

다음 검색 등록 시 다음과 네이트, 카카오가 같이 적용이 된답니다. 




1. 다음 검색등록 사이트 접근하기

※ 다음 검색등록의 경우 등록 시 https 처리가 되지 않는데요. 다음 검색등록은 blog 서비스(티스토리나 네이버 블로그와 같은 블로그서비스)만 해당됩니다. 별도 도메인을 이용하는 워드프레스나 구글 블로그의 경우 다음 웹마스터 도구를 이용하셔야 하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Daum 검색등록을 위해 검색등록 사이트 ( https://register.search.daum.net/index.daum ) 에 접속해주세요. 접속하면 상단에 '신규 등록하기' 버튼이 나올거에요 이 버튼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다음 검색등록 사이트



2. 개인정보 동의 후 블로그 정보 입력 하기

신규 등록하기에 진입하면 다음 사이트의 정보제공 약관 동의가 노출이 될 건데요. 요 약관을 동의하신 후 블로그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으로 이동해주시면 됩니다. 

사이트 정보 등록

다음이 카카오로 흡수된 후 정말 다음쪽 사이트를 손을 안본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굉장히 오래되어 보이는 화면이에요. 정보 등록 화면으로 진입하면 2개 정보를 입력해주시면 되는데요. '검색등록 선택' 항목은 내가 등록할 주소가 일반 웹사이트인지, 블로그인지를 설정하는 항목이에요.

저는 구글 블로그스팟.. 누가봐도 블로그니까 블로그를 선택했습니다. 
블로그로 등록하면 하단의 설명에서와 같이 검색엔진에 등록되면 블로그 영역이나 사이트 영역에서 노출이 된답니다.  블로그로 설정을 하셨다면 블로그 URL을 입력해주신 후 확인을 선택하면 다음 화면으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3. 검색엔진 등록결과를 받을 메일 등록하기

다음 검색엔진 등록 시에는 로그인을 따로 하지 않으므로 별도로 검색등록 결과를 안내받을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는 화면이 노출됩니다.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메일로 등록해주시면 됩니다. 

메일 입력



4. 등록 완료! 

이메일 주소까지 등록 완료하면 검색 등록이 완료되었다는 안내 화면을 보실 수 있으실 거에요. 사실 다음쪽은 떠도는 풍문에 블로그에 게시글이 많아야 검색등록이 된다던가 하는 여러 얘기가 있는 만큼 마음을 내려놓으시고 (...) 블로그 글 쓰시면서 될때까지 시도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등록 완료




━━━━◇━━━━


빙 (Bing) 검색 등록 하기 

빙은 사실 그동안은 크게 존재감이 없는 검색엔진이었는데 Chat Gpt가 나오면서 유입효과를 기대하시는 분들이 늘어나는 검색엔진이에요. MS에서 제공하는 검색엔진이라고 보는게 맞을 것 같네요! 사실 Chat Gpt가 나오기 이전까지의 Bing은 SEO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자주 방문을 했었어요. 사이트 등록하면 사이트 내 위반되는 사항을 자세히 알려주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었거든요! 하지만 최근엔 검색도 꽤 들어오는 편이라 꼭 등록해보시는 게 좋겠지요?





1. 빙(Bing) 검색 등록 사이트 접속하기

빙(bing)도 검색등록 사이트(https://www.bing.com/webmasters/about)가 별도로 존재합니다. 검색 등록을 하기 위해 사이트에 접속한 후 로그인을 해주세요! 


빙 사이트 추가

로그인을 하면 왼쪽 상단으로 검색 등록할 사이트를 추가하는 버튼을 확인하실 수 있으실텐데요. '사이트 추가' 버튼을 선택해주세요. 



2. 등록 방식 선택하기 

예전에는 bing도 무조건 매번 등록을 했어야 했는데... 이제는 선택지가 생겼습니다. Bing은 2개의 방식을 제공해주고 있는데요. 하나는 구글 서치콘솔 정보 가져오기 방식과 직접 등록하는 방식이랍니다. 

등록 방식 선택


+ 구글 서치콘솔 등록 정보 가져오기

제가 등록한 순서대로 따라오셨다면 아마 구글 서치콘솔을 등록을 해 두셨을거라 구글 서치콘솔 등록 방식을 먼저 체크해볼게요.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이 되어 있다면 구글 서치콘솔 내 등록된 정보를 가져와 빠르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왼쪽을 선택하시면 구글 로그인 화면이 나오는데요. 그때, 서치콘솔에 등록했던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시면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되어 있는 사이트의 정보를 선택할 수 있고, 거기서 선택하여 등록하면 등록이 완료 됩니다

이때, 사이트맵이나 rss 정보도 같이 가져오기 때문에 따로 등록하실 필요가 없어 편리해요! 







+ 사이트 수동 추가하기 

거의 그럴일은 없지만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을 하지 않으신 경우 수동으로 추가하는 방법이에요. 이 경우 사이트 주소를 바로 화면에 입력해주신 뒤 추가를 해주시면 되는데요. 사이트 등록 후 RSS와 Sitemap 제출도 수동으로 추가 제출해주셔야 합니다. 

RSS와 사이트맵 모두 왼쪽 메뉴의 '사이트맵' 메뉴를 선택하고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빙도 구글 서치콘솔과 같이 한 메뉴에서 RSS와 사이트맵을 같이 등록하고 있으므로 주소만 다르게 2번 등록해주시면 됩니다. 

추가 시 정보는 역시 2차 도메인을 사용하는지 블로그스팟 도메인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달라지니 하단의 정보를 참고해서 등록해주세요. 

[ 2차 도메인 사용 시 ]
- sitemap : https://2차 도메인 주소/sitemap.xml
- rss : https://2차 도메인주소/feeds/posts/default?alt=rss

[ 블로그스팟 도메인 사용 시 ]
- sitemap : https://블로그주소.blogspot.com/sitemap.xml
- rss : https://블로그주소.blogspot.com/feeds/posts/default?alt=rss


여기까지 다음과 빙 사이트의 검색 등록방법 포스팅이었습니다. 


━━━━◇━━━━


지금까지 구글, 네이버, 빙, 다음 총 4개의 검색엔진에 등록을 했는데요. 이게 블로거들이 보편적으로 많이 등록하는 검색 사이트 4개라고 보시면 됩니다. 

검색 엔진을 등록하는 웹마스터 도구 ( 구글 : 서치콘솔, 네이버 : 서치어드바이저 등)에서는 실제 해당 검색엔진에 내 글이 잘 등록이 되고 있는지 누락된건 없는지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여러 도구들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자주 방문하셔서 확인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이제 검색 등록까지 끝나면 정말 아주아주 기본적인 블로그 세팅이 일차적으로 완료가 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 이후에 추가할만한 구글 애널리틱스나 네이버 애널리틱스 애드센스 등은 블로그의 운영 방식이나 활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

+ 구글 블로그스팟 설정 메뉴 이용방법 알아보기
https://www.mhobby.co.kr/2023/06/blogspot-setting.html

+ 구글 블로그스팟 2차 도메인 설정방법 알아보기
https://www.mhobby.co.kr/2023/06/2-google-blogspot-domain.html

+ 또 다른 검색엔진 등록방법 알아보기

[ 구글 검색 등록 ]
https://www.mhobby.co.kr/2023/06/blog-post.html

[ 네이버 검색등록 ]
https://www.mhobby.co.kr/2023/07/naver-searchadvisor.html


포스팅 제목 하단

포스팅 하단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