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센스를 등록할 수 있는 수익형 블로그를 사용하는 한국 사용자분들이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는 많지가 않은데요. 그래서인지 많은 분들이 무료이면서 부담이 없는 티스토리를 이용해왔던 것도 사실입니다. 에디터가 구리다 기능이 구리다 하지만... 블로그스팟 대비는 훨씬 좋으니까 말이죠. ^^;;
오랫동안 티스토리를 이용하셨던 분들은 블로그스팟의 기능 중에서도 가장 낯설은 기능이 바로 '라벨' 이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요. 티스토리의 경우 카테고리 항목이 있어서 카테고리로 글을 분류할 수 있었지만 블로그스팟은 카테고리 구조로 분류할 수 있는 기능이 없으니까요.
이번에 소개드릴 기능은 바로 요 카테고리 형태로 특정 주제의 글을 묶어서 찾아갈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능에 대해 소개드려
볼까합니다.
━━━━◇━━━━
블로그스팟에서 카테고리 만들기
구글 블로그스팟의 경우 공식적으로 카테고리 기능을 지원하지 않고, 라벨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라벨은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의 '태그' 같은 개념인데요. 게시글에 게시글과 관련성 있는 라벨을 등록해두고 라벨을 검색하면 그 라벨이 등록된 게시글을 조회해서 보여주는 개념이지요!
제가 소개드릴 카테고리 만드는 방식은 실제 티스토리와 동일하게 카테고리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이 라벨을 가지고 카테고리와 비슷하게 특정 카테고리와 관련된 글을 조회해 오도록 게시하는 방식이라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2가지 방법으로 안내를 해드릴 예정이니 원하는 형태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
태그 가젯을 활용하여 카테고리
만들기
첫번째 방법은 블로그스팟에서 제공하는 레이아웃 메뉴에서 '라벨' 가젯을 이용해 카테고리를 만드는
방식입니다.
1. 레이아웃 메뉴에서 태그 가젯 선택하기
블로그스팟 관리 메뉴에서 '레이아웃' 메뉴를 선택해주시면 레이아웃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가 나옵니다. 레이아웃 메뉴에서 블로그스팟의 화면
내 어떤 가젯을 어떻게 보여줄 지 배치를 설정할 수 있답니다.
2. 태그 가젯 세팅하기
추가하거나 기존에 있던 '태그 가젯'을 선택하면 팝업으로 여러 설정 항목이
노출됩니다.
각 항목별로 천천히 설명해보겠습니다.
- 이 위젯 표시 : 실제 스킨에서 표시할지 말지의
설정값입니다.
- 제목 : 스킨에서 이름으로 표시되는 명칭입니다.
- 라벨 정렬 : 라벨을 2개 이상 설정할 경우 노출되는
순서에요!
- 표시 : 음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목록으로 선택했어요.
- 라벨당 글 수 표시 :
라벨 옆에 괄호와 함께 해당 라벨이 붙은 글 수를 노출해주는 기능입니다.
- 표시 : 이 항목은 라벨을 전부 표시할건지.. 일부만
표시할건지.. 1개만 표시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항목입니다.
3. 실제로 화면을 통해 확인하기.
위 사진에는 2개의 형태가 나오는데요. 라벨 가젯을 라벨별로 각각 사용하는 경우(왼쪽)와 라벨 가젯을 하나만 사용하고
모든 라벨이 나오도록 처리한 형태(오른쪽)입니다.
라벨 가젯을 사용하면 라벨 옆으로 해당 라벨이 등록된 글의 개수를 숫자로 노출해주고 해당 라벨을 선택하면 그 라벨이 등록된 글을
조회해서 리스트로 보여주는 구조이지요! 정말 정석적으로 블로그스팟 식 카테고리를 만드는 방식입니다.
━━━━◇━━━━
페이지 가젯 또는 링크 가젯을 이용해 카테고리
만들기
티스토리의 카테고리를 보면 전체보기와 각 카테고리명이 나와있고 각 카테고리를 선택했을 때 그 카테고리로 등록된 글을 볼 수 있는
구조입니다. 블로그스팟은 각 라벨별로 등록된 글을 모아 볼 때 별도의 URL이 생기는데요. 이 URL을 이용해 링크를 걸어 각 항목을 카테고리처럼 보이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각 라벨별 URL을 취합하는 방식은 우선 라벨 가젯 적용한 뒤에 홈페이지에서 라벨을 선택하면 라벨에 대한 글만 조회되면서 라벨 조회에 따른 고유 URL이 노출됩니다. 이 URL을 라벨별로 따로 백업해주시면 됩니다.
만약, 귀찮다면 아래 주소에 라벨명만 바꿔주셔도 됩니다.
- https://내 블로그스팟 주소/search/label/라벨명
그럼 페이지 및 링크 목록 가젯을 활용한 카테고리 세팅 방법 안내드릴게요!
1. 레이아웃 메뉴에서 가젯 선택하기
블로그스팟 관리 화면에서 '레이아웃' 메뉴 선택 후 '가젯 추가'를 선택하세요.
페이지 방식을 선택할 경우
페이지 가젯을 링크 방식을 선택할 경우 '링크 목록' 가젯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2. 가젯 설정하기
페이지 가젯과 링크 목록 가젯은 사실 최종적으로 세팅해두면 뭐가 뭔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유사하게 보이지만 세팅하는 방식은
조금 다릅니다.
[ 페이지 가젯 설정 화면 ]
페이지 가젯 설정 화면입니다. 페이지 가젯은 설명으로 볼때 스킨을 만들고 스킨에서 상단 TAB메뉴 방식을 꾸밀때도 쓰이는 것으로 보이네요. 저는 그냥 사이드바의 카테고리 단순 노출 수준으로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새 항목 추가 버튼 선택 시 팝업으로 페이지이름과 페이지 URL 명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페이지 이름에 카테고리 명칭, 페이지 url에 카테고리로 꾸밀 라벨 url(상단 참고)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 목록에 표시할 항목 수 : 그냥 비워두세요.
여기까지 페이지와 링크 가젯을 이용해 설정하는 방법이었습니다.
가젯을 설정한 이후에는 레이아웃 메뉴 오른쪽 하단의 저장 버튼을 선택해주셔야만 반영이 되니 누르는 것 잊지
말아주세요!
3. 스킨에서 설정한 항목 확인하기
페이지와 링크 가젯을 이용해 세팅을 완료화면 티스토리와 유사하게 세팅 됩니다.